기사 메일전송
소득요건 완화하자 신생아대출 매달 1조원씩 늘어…1년간 13조 신청 - 맞벌이 부부 소득요건 1억3천→2억원으로 올린 영향 - 지난해 신생아 등 디딤돌대출 52% 증가…30조원 육박
  • 기사등록 2025-03-03 11:37:56
기사수정

소득요건 완화하자 신생아대출 매달 1조원씩 늘어…1년간 13조 신청


맞벌이 부부 소득요건 1억3천→2억원으로 올린 영향


지난해 신생아 등 디딤돌대출 52% 증가…30조원 육박


수도권 아파트 대상으로 디딤돌대출 한도 축소수도권 아파트 대상으로 디딤돌대출 한도 축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진은 서울의 한 은행 앞에 내걸린 디딤돌 대출 등 정보. 2024.12.2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신생아 특례대출을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이 부부합산 연 1억3천만원에서 2억원으로 완화된 이후 매월 1조원씩 대출 신청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 대출 신청액은 1년간 13조원, 집행액은 10조원을 넘어섰다.


3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신생아 대출을 출시한 지난해 1월 29일부터 올해 1월 30일까지 1년간 총 13조2천458억원의 대출 신청이 들어왔다.


주택 구입자금 대출(디딤돌) 신청 규모가 10조1천818억원으로 76%를 차지하고, 전세자금 대출(디딤돌)은 3조1천277억원 규모였다.


1년간 신청받은 대출을 집행한 규모는 총 10조3천438억원이다.


구입자금 집행이 7조6천711억, 전세자금은 2조6천727억원 이뤄졌다.


신생아 대출이란 대출 신청일 기준으로 2년 내 출산·입양한 무주택 가구나 1주택 가구(대환 대출)가 주택구입이나 전세자금을 저리로 빌릴 수 있는 제도다. 대상 주택은 9억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로 최대 5억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서울 아파트 서울 아파트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사진은 2일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단지 모습. 2025.3.2 superdoo82@yna.co.kr


주목할 만한 점은 신생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이 부부합산 1억3천만원에서 2억원으로 완화된 지난해 12월부터 구입자금 대출 신청이 급격히 늘었다는 점이다.


구입자금 대출 신청 규모는 지난해 7∼9월 월 7천억원대였고, 10월 9천403억원으로 늘었다가 다시 11월 7천998억원으로 떨어졌다.


그러다 소득 요건 완화가 시작된 지난해 12월 1조686억원, 올해 1월엔 1조455억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소득 요건 완화 첫 달인 12월에는 대출 신청액이 전월보다 34%, 집행액은 24% 급증했다. 그간 신생아 대출이 어려웠던 연소득 1억3천만원 초과∼2억원 이하 고소득 부부의 대출 신청이 몰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신생아 대출 소득 요건을 한 차례 더 완화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출산한 가구에 대해서는 소득 요건을 2억5천만원으로 완화한다고 밝혔으나, 가계대출 증가 추이를 고려해 아직 시행하지는 않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대상으로 디딤돌대출 한도 축소수도권 아파트 대상으로 디딤돌대출 한도 축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일부터 수도권 아파트를 대상으로 디딤돌대출 한도가 축소된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은행 앞에 내걸린 디딤돌 대출 등 정보. 2024.12.2 pdj6635@yna.co.kr


정부는 가계대출을 전반적으로 옥죄면서도 올해 정책대출은 지난해(60조4천억원)와 비슷한 60조원 수준에서 공급하기로 한 상태다.


지난해 구입자금 대출인 디딤돌대출 집행액은 29조175억원으로, 전년보다 52%(15조1천340억원) 증가했다.


신생아 대출이 새로 출시된 데다,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높아졌는데 디딤돌대출 금리는 낮게 유지되자 수요가 몰렸기 때문이다.


전세자금용인 버팀목대출 집행액은 24조7천902억원으로 전년(26조5천755억원)보다 1조7천853억원 줄었다. 정책대출 증가액 전부를 구입자금 대출이 차지한 셈이다.


디딤돌대출 조이기에 들어간 정부는 수도권 아파트를 대상으로 지난해 12월부터 대출 한도를 축소하고, 두 차례 대출 금리도 올렸다.


디딤돌대출은 2021년 5조755억원, 2022년 3조7천205억원 수준이었으나 2023년 13조8천835억원으로 대폭 늘었고, 지난해 30조원에 육박했다.


정부로선 올해도 가계대출 증가와 집값 상승을 잡기 위해 정책대출 규모를 관리하면서 서민 주거 안정과 출산율 제고라는 정책 목표까지 고려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게 됐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k-beautynews.com/news/view.php?idx=1018
  • 기사등록 2025-03-03 11:37:5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포토/영상더보기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청계천 수상무대에서 열린 패션쇼
  •  기사 이미지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10월까지 조선왕릉 8곳서 문화행사 개최
  •  기사 이미지 촉촉이 내리는 봄비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