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희 기자
'AI신약' 등 바이오 10대 중점분야 선정…전략적 R&D 추진
국가바이오위 제2차 회의…바이오 역량 강화 정책 논의
생명ㆍ바이오 산업 (PG) [제작 조혜인] 합성사진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정부가 인공지능(AI) 신약개발 등 바이오 연구개발(R&D) 10대 중점분야를 선정하고 분야별 전략적 R&D 추진 방향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20일 서울 중구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실에서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제2차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정부 바이오 R&D 중점분야 및 추진방향 제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 권한대행 및 정부·민간위원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정부 바이오 분야 컨트롤타워 격인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지난 1월 출범 이후 과학·의료, 자원·혁신, 제조·전환 등 3개 분과위원회를 운영하고 바이오 기업협의회를 열어 현장 목소리를 듣는 등 정책과제를 논의해왔다.
우선 바이오위는 정부 바이오 R&D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부처별 정책이 분절돼 성과가 나지 않았다고 보고 중점 분야별 전략적 R&D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10대 중점분야로 ▲ AI 신약개발 ▲ 바이오헬스 데이터 구축 연계·활용 ▲ 방사성의약품 ▲ 첨단뇌과학 ▲ 첨단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혁신 ▲ 그린바이오 소부장 ▲ 합성생물학 ▲ 미래 식량자원 ▲ 감염병 치료제 ▲ 탄소저감형 바이오 소재 및 에너지를 선정했다.
정부는 이를 관계부처에 보내 내년 정부 R&D 예산 편성에 참고하도록 하고, 분야별로 새 R&D를 기획할 때 관계부처 간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협업을 고도화하기로 했다.
이날 바이오위는 글로벌 바이오정책 현황 및 대응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은 바이오 R&D의 정부 지원 및 민간 투자 규모가 2022년 기준 11조7천억원 수준으로 글로벌 제약사 1개 수준에도 못 미칠 정도로 저조하고, 바이오 클러스터 협업과 규제 개선도 미흡하다고 분석됐다.
또 원료의약품 및 원부자재 특정국 의존도가 높고, 기술격차도 크다고 진단됐다.
정부는 이에 따라 바이오위를 중심으로 정부 및 산·학·연·병 간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전략기술 집중 투자와 바이오기업 제조역량을 강화한다는 대응 방안을 내놨다.
또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을 높이고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세계 수준의 바이오데이터 관리체계도 도입하기로 했다.
이 권한대행은 "바이오 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이하는 상황에서, 핵심 바이오 기술을 전략화하고 있는 세계 선도국과 경쟁하기 위해 전 부처의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술 패권 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책 지원의 일관성과 지속성이 중요하다"며 "바이오와 타 분야와의 긴밀한 연계·협력을 강화하도록 관계부처와 산·학·연·병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