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희 기자
세계무형유산 보호·전승 돕는다…정부, 유네스코에 50억원 공여
국가유산청, 무형유산 분야 기금 첫 조성…2026년 세계유산위원회 유치 목표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 전경 [유네스코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전통 지식과 문화 등 무형유산을 보호·전승하기 위해 정부가 힘을 보탠다.
국가유산청은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유네스코 본부에서 무형유산보호협약 신탁기금 공여를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정에 따라 국가유산청과 유네스코는 무형유산 보호·전승에 앞장서는 모범 사례를 공유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협력한다.
국가유산청은 이 사업을 위해 5년간 연 10억원의 신탁기금을 공여할 예정이다.
한국이 유네스코 무형유산 분야에서 별도 기금을 조성하는 건 처음이다.
파리 유네스코 본부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무형유산 보호·전승 모범 사례를 통해 무형유산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네스코는 2003년 채택한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따라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국의 무형유산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고 있다.
한국이 보유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은 총 23건으로 무형유산보호협약 가입국 184개국 중에서는 중국(39건), 튀르키예(28건), 프랑스(26건)에 이어 4번째로 많다.
지난해에는 콩을 발효해 된장과 간장 등을 만들어 나눠 먹던 한국 장(醬) 문화가 대표목록에 등재됐다.
국가유산청은 2026∼2030년 활동하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 위원국으로 선출되기 위해서도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제46차 세계유산위원회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 정부는 2026년도 세계유산위원회 유치도 목표하고 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세계유산 신규 등재와 보존 현황 점검·관리 등 주요 업무를 결정하기 위해 매년 열리는 정부 간 위원회를 일컫는다.
1977년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 위원회가 열린 이래 한국에서 개최된 적은 없다.
아시아에서는 태국 푸껫(1994), 일본 교토(1998), 중국 쑤저우(2004), 캄보디아 프놈펜·시엠레아프(2013) 등에서 진행된 바 있다.
파리 유네스코 본부를 찾은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에르네스토 오토네 라미레즈 문화사무총장보와 면담을 갖고 세계유산위원회 유치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유네스코와의 협력을 확대하면서 국제 유산 분야에서 선도적인 노력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픽] 한국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현황 [연합뉴스 자료사진]
y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