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선 기자
서울시가 소상공인을 위한 대규모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한다. 23일 서울시는 '2025년 서울시 소상공인 종합지원'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들에게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창업기, 성장기, 재도전기 등 각 단계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가 매년 계획을 수립하고, 서울신용보증재단 자영업지원센터가 실제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올해 서울시는 총 250억 원을 투입해 창업지원, 경영안정화, 위기극복, 재도전 등 4개 분야의 8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전년 대비 5,800명 증가한 2만4천여 명으로, 지원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예비 창업자를 위해 업종별, 유형별로 세분화된 특화 창업교육을 1만 명에게 제공할 계획"이라며 "이는 지난해보다 2천 명 늘어난 규모"라고 설명했다.
또한, 성공한 선배 기업인의 노하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현장멘토링을 160명 규모로 진행하고, 예비 창업자와 창업 3년 이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업종별 컨설팅을 5천 건으로 확대해 시장 안착을 돕는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특히 위기에 처한 소상공인들을 위한 지원을 강화했다. '위기 소상공인 조기발굴 및 선제지원' 대상을 전년 1,300명에서 올해 3,000명으로 두 배 이상 늘렸다. 신용보증재단의 금융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영위기 알람모형'을 통해 매출액 감소, 대출 급증 등의 위기 신호를 조기에 포착해 대응할 계획이다.
폐업 지원과 재도전 프로그램도 강화됐다. '새 길 여는 폐업지원'과 '다시서기 프로젝트' 지원 대상을 전년 3,500명에서 올해 4,600명으로 확대했다. 폐업 소상공인에게는 최대 300만 원의 실비를 지원하고, 재창업 준비자에게는 컨설팅과 교육, 일자리 매칭 등을 제공한다.
송호재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만성화된 경기침체와 정국 불안정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서 많은 소상공인이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서울경제의 버팀목인 소상공인들이 위기를 극복해 활력을 되찾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소상공인 종합지원 사업 참여를 원하는 이들은 24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서울시 자영업지원센터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